1. 2025-2027 전략계획
(상세보기: The Second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2027)
- 3대 핵심전략방향(KSO): ① 녹색 전환, ② 디지털 전환, ③ 유럽의 탄력성, 경쟁력, 포용력, 민주주의 강화
- 기대파급효과(Expected Impacts): ① 기후중립적이고 순환적이며 디지털화된 산업 및 디지털 가치사슬 내 글로벌리더십 달성, ② 원자재, 화학물질 및 혁신 소재 분야에서 유럽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을 위한 기술리더십 달성, ③ 데이터 서비스 및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민첩하고 안전한 단일시장 및 인프라 개발, ④ 디지털 및 신흥 활성화 기술 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달성, ⑤ 글로벌 우주 기반 인프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분야에서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달성, ⑥ 인간 중심 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 및 산업 기술
- 국제협력 전략
- 클러스터4는 공통 관심 분야에서의 다자간 협력을 강조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럽의 강력한 입장을 고수하며, 공평한 경쟁의 장, 공통 표준과 적절한 경우 상호주의를 추구
- 클러스터4는 국제협력에 대한 개방성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5G/6G, AI, 양자 컴퓨팅, 칩 또는 우주 기술과 같은 중요한 분야에서 EU의 전략적 자산, 이익, 자율성 및 보안을 보호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 EU는 전략적 파트너와 생산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기술 주권을 강화할 계획. 기술 가치사슬의 핵심 전략 부문에 대해 비EU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긴밀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전략적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비EU 국가들이 EU 내 전략적 기업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막을 것
- EU는 제조 기술, 디지털 기술(특히 5G/6G 및 AI) 및 우주 내 서비스의 규제 맥락을 포함하여 공통 표준 및 상호운용성을 개발할 계획
- EU는 비EU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인터넷 인재를 유치하여 윤리적, 사회적 가치를 지원하는 인간 중심의 인터넷을 촉진할 것
- EU는 EU의 전략적 파트너와 생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원자재, 특히 핵심 원자재 및 첨단소재에 대한 기술 주권을 강화할 것
- EU는 캐나다, 일본, 한국과의 이전 제조 협력을 바탕으로 협력을 지속할 것
- 우주 분야에서는 다음을 위한 국제협력을 추진
- 기술 개발(민감한 주제에 관해 EU의 안보나 전략적 이해관계로 인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만 진행)
- EU 우주 프로그램(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등)을 세계 다른 지역으로 확장
- 우주 과학(천체 물리학, 우주론, 성체 물리학 등) 및 데이터의 과학적 활용
2. Work Programme 2025
(상세보기: Cluster 4 Work Programme 2025 초안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