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The Second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2027)
EU와 회원국은 UN 생물다양성회의(COP15)에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달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함
<aside> <img src="/icons/checkmark_gray.svg" alt="/icons/checkmark_gray.svg" width="40px" />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 동 회의에는 생물다양성 국제협약에 따른 196개국 대표가 참여,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논의 및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협약 구축, ’94년 1차 개최를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진행(‘14년 제12차 한국 평창 개최)
</aside>
<aside> <img src="/icons/checkmark_gray.svg" alt="/icons/checkmark_gray.svg" width="40px" />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
클러스터6의 R&I 활동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에 명시된 2030년 4개 목표와 23개 목표를 중심으로 설계되며,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정부간 과학 정책 플랫폼(IPBES)에 대한 지원을 포함
클러스터6는 ‘EU 토양 미션’을 보완하여 국제 자원 패널과 글로벌 토양 파트너십 및 유럽 토양 파트너십의 목표를 지원
클러스터는 해양을 보호하고, 환경 악화에 대처하고,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고, 생물다양성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해양생물다양성(BBNJ)에 관한 UN 회의(`23.03)’에서 채택된 공해 조약을 이행하기 위한 R&I 활동을 개발할 것임
<aside> <img src="/icons/checkmark_gray.svg" alt="/icons/checkmark_gray.svg" width="40px" />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해양생물다양성(BBN) 협정: 바다 표면적의 약 2/3를 차지하는 공해 지역에 대한 환경 및 해양생물다양성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지구적 다자조약으로 `23년 한국은 83번째 서명국이 됨(총 90개국)
</aside>
동시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UN 해양과학 10년’과 ‘생태계 복원을 위한 UN 10년’도 지원될 것으로 기대
R&I의 중요성이 강조된 UN 해양 회의(22.6.)와 ‘UN 물총회(
23.3.)’를 기반으로 ‘Water4All 유러피안 파트너십’ 및 ‘EU 해양 복원 미션’을 통해 국제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클러스터6는 오염을 제거하고 멈추기 위한 국제적 조치를 지원
특히, R&I는 `22년 유엔환경총회(UNEA)가 지지하는 결의안을 바탕으로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기 위한 다자간 조치를 지원할 예정
또한, R&I는 `22년 3월 UNEA에서 설립하기로 합의된 화학물질, 폐기물 및 오염에 관한 미래 과학 정책 패널을 지원하고, UN2030 의제와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지원하고, 식량 및 영양 안보를 보장하며, 중·저소득 국가의 참여를 모색하는 등 국제 영향을 다룰 예정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구 관측 그룹 내에 데이터와 지식, 개발 표준 및 모범 사례의 공유가 촉진될 것임
관측 시스템을 보다 객관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등 환경관측에 대한 국제협력 및 거버넌스가 지원될 예정
농업, 해양, 임업 부문, 농촌 지역 및 식량 시스템에 있어 국제협력은 매우 중요
`21년 개시된 호라이즌 유럽 아프리카 이니셔티브가 지속될 예정, 아프리카식량 시스템에서는 특히 ‘식량, 영양 안보 및 지속 가능한 농업(FNSSA) 유러피안 파트너십’과의 시너지 효과가 필요
`22년 7월 ‘전 대서양 연구혁신 동맹 선언’에 대한 서명은 대서양 유역의 해양 연구협력을 극지에서 극지까지 강화 및 확장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공
‘지속가능한 청색 경제 유러피안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R&I는 국제 프레임워크의 일부로서 국제 해양 거버넌스와 지속가능한 청색 경제는 물론 개발 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어업 및 양식을 지원
‘북극 과학 장관급 프로세스’와 같은 국제 프레임워크 하의 협력에서 비롯되는 연구 수요를 고려하여 북극에 관한 지식과 혁신을 확장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도 다루어질 예정
클러스터6가 다루는 분야 전반에 걸쳐 국제 파트너와의 협력이 계속해서 장려될 것(지중해 지역 연구혁신 파트너십(PRIMA), LAC 이니셔티브 등)
국제 바이오경제 포럼, OECD 파트너 등과 함께 바이오기반 솔루션과 접근방식 그리고 생명공학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바이오경제의 국제적 차원을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임
토지 이용과 기후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국제 R&I 협력은 집행위원회와 여러 회원국의 기후 농업 혁신 임무에 참여하고 UN 기후 변화 협약에 따라 추진되는 기타 계획을 통해 나타날 수도 있음
(상세보기: Cluster 6 Work Programme 2025 초안 주요 내용)